대한민국 권력의 심장, 청와대 경내가 50여 년 만에 국민들에게 개방됐다. 지난달 10일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폐쇄적 공간이었던 청와대를 모두가 누리는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에 청와대 개방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기존 청와대 부분개방은 소수의 제한된 인원이 제한된 구역을 방문해 국민들이 청와대의 문턱이 낮아졌다고 체감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었다”며 “이번 개방과 관련해서 국민들이 자유롭게 청와대 경내를 둘러보면서 청와대가 이제 국민의 공간이 되었음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약속했던 전면 개방이 아니라 경내 개방으로 진행된 것에 대해서는 “청와대 시설 내부에는 사전 정리가 필요한 집기, 문건 등이 다수 존재한다. 주요 물품 정리 후 건물 내부도 전면 개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라는 계획을 밝혔다.
청와대가 개방되면서 청와대 인근 지역이 어떻게 변화할지도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청와대 인근 지역은 청와대와 인왕산, 인접해 있는 문화재 등의 이유로 고도 제한 등 건축물을 지을 때 여러 가지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도심의 높이 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최대한 구현하면 공공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데, 그 땅을 다 녹지와 나무 숲으로 만들겠다”고 언급하는 등 개발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관광객들이 청와대 주변을 찾는 이유는 경복궁이나 청와대 뿐 아니라 한옥마을, 미술관 등도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라며 “개발과 보존 사이의 밸런스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람객이 많아지면서 관람객과 지역 주민 사이의 갈등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30일 청와대 관람객에 대해 “청와대와 가장 가까운 대중교통인 경복궁역은 보행량이 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관람객이 증가하면서 지역 주민들은 쓰레기 무단 투기, 소음공해, 교통 통제 등 여러 가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종로구청은 이에 대해 “불법 주정차 단속과 불법 적치물 관리 등을 실시하여 주민들의 불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람은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사전 관람 신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5월 23일부터 6월 11일까지는 사전 관람 기간으로 매일 7시부터 19시까지 2시간 단위로 입장하여 관람할 수 있다. 이후에는 청와대 홈페이지를 통해 관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을 공지할 예정이다.
출처_청와대 공식 홈페이지
대한민국 권력의 심장, 청와대 경내가 50여 년 만에 국민들에게 개방됐다. 지난달 10일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폐쇄적 공간이었던 청와대를 모두가 누리는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것”에 청와대 개방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기존 청와대 부분개방은 소수의 제한된 인원이 제한된 구역을 방문해 국민들이 청와대의 문턱이 낮아졌다고 체감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었다”며 “이번 개방과 관련해서 국민들이 자유롭게 청와대 경내를 둘러보면서 청와대가 이제 국민의 공간이 되었음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약속했던 전면 개방이 아니라 경내 개방으로 진행된 것에 대해서는 “청와대 시설 내부에는 사전 정리가 필요한 집기, 문건 등이 다수 존재한다. 주요 물품 정리 후 건물 내부도 전면 개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라는 계획을 밝혔다.청와대가 개방되면서 청와대 인근 지역이 어떻게 변화할지도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청와대 인근 지역은 청와대와 인왕산, 인접해 있는 문화재 등의 이유로 고도 제한 등 건축물을 지을 때 여러 가지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도심의 높이 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최대한 구현하면 공공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데, 그 땅을 다 녹지와 나무 숲으로 만들겠다”고 언급하는 등 개발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관광객들이 청와대 주변을 찾는 이유는 경복궁이나 청와대 뿐 아니라 한옥마을, 미술관 등도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라며 “개발과 보존 사이의 밸런스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람객이 많아지면서 관람객과 지역 주민 사이의 갈등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30일 청와대 관람객에 대해 “청와대와 가장 가까운 대중교통인 경복궁역은 보행량이 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관람객이 증가하면서 지역 주민들은 쓰레기 무단 투기, 소음공해, 교통 통제 등 여러 가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종로구청은 이에 대해 “불법 주정차 단속과 불법 적치물 관리 등을 실시하여 주민들의 불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람은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사전 관람 신청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5월 23일부터 6월 11일까지는 사전 관람 기간으로 매일 7시부터 19시까지 2시간 단위로 입장하여 관람할 수 있다. 이후에는 청와대 홈페이지를 통해 관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을 공지할 예정이다.
김남건 수습기자